맨위로가기

아자이 나가마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자이 나가마사는 오미 지방의 다이묘로, 1545년에 태어나 1573년에 사망했다. 그는 가문을 상속받고 독립하여 세력을 키웠으며, 오다 노부나가와 동맹을 맺었으나, 아사쿠라 가문과의 관계를 중시하여 노부나가에게 대항했다. 결국 오다 노부나가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자결했다. 그는 용맹하고 의리 있는 무장으로 평가받으며, 대중문화에서 비극적인 영웅으로 묘사되어 다양한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자이씨 - 요도도노
    요도도노는 아자이 나가마사와 오다 노부나가의 여동생 오이치 사이에서 태어난 아자이 삼자매의 맏딸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실이 되어 도요토미 히데요리를 낳았으며, 히데요시 사후 히데요리의 후견인으로서 도요토미 가문의 실권을 장악하고 도쿠가와 막부와 대립하다 오사카 전투에서 패배하여 히데요리와 함께 자결한 인물이다.
  • 아자이씨 - 아자이 스케마사
    아자이 스케마사는 센고쿠 시대에 몰락해가던 아자이 가문을 재건하고 북 오미 지역에서 세력을 확장하며 롯카쿠 가문과 대립한 아자이 가문의 당주이다.
  • 시가현의 역사 - 야마우치 가즈토요
    야마우치 가즈토요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도사국을 얻어 다이묘가 되었고, 고치성을 축조하고 가다랑어 타다키의 유래를 만들었으며 20만 석의 영주가 되었으나 자식 없이 사망했다.
  • 시가현의 역사 - 글리코·모리나가 사건
    1984년부터 1985년까지 일본에서 발생한 글리코·모리나가 사건은 괴도 21면상을 자칭하는 범인들이 글리코 사장 유괴를 시작으로 글리코와 모리나가 제과 등 식품 회사를 협박하며 청산가리를 넣은 과자를 유통시키겠다고 위협한 미해결 기업 협박 사건이다.
  • 1573년 사망 - 정숙옹주 (성종)
    정숙옹주는 조선 성종과 숙의 홍씨의 딸로, 영평위 윤섭에게 출가하여 사후 양자를 들여 의지하며 장수하고 예법을 중시한 삶을 살았으며, 사망 후 선조가 장례를 치르도록 했다.
  • 1573년 사망 - 다케다 신겐
    다케다 신겐은 가이 겐지 출신으로 센고쿠 시대를 대표하는 무장으로, '가이의 호랑이'라 불리며 우에스기 겐신과의 가와나카지마 전투, 이마가와 요시모토, 호조 우지야스와의 동맹, 오다 노부나가와의 일시적 동맹,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미카타가하라 전투 등 격변의 시대를 살았다.
아자이 나가마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아자이 나가마사
본명浅井 長政
로마자 표기Azai Nagamasa
출생1545년
사망1573년 9월 26일
사망 장소오다니 성
배우자오이치 (오다 노부나가의 여동생)
자녀요도도노 (딸)
오하쓰 (딸)
오에요 (딸)
만푸쿠마루 (아들)
아버지아자이 히사마사
씨족아자이 씨
가문[[File:Japanese_Crest_mitumori_Kikkou_ni_Hanabishi.svg|15px]] 아자이 씨
[[File:Japanese_Crest_mitumori_mokkou.svg|15px]] 아사쿠라 씨
관직
아자이 씨 당주1560년 ~ 1573년
이전아자이 히사마사
후임없음
생애 및 관력
시대센고쿠 시대
어린 시절 이름사루야샤
가명신쿠로
통칭비젠노카미
관위비젠노카미
추증 관위종2위 중납언
주인롯카쿠 요시카타
가족 관계
부모아버지: 아자이 히사마사, 어머니: 오노도노
형제자매마사모토
마사유키
야스히로
아자이 하루마사
아쿠히메
다이니노쓰보네
교고쿠 마리아
정실히라이 사다타케의 딸
계실오이치노카타
측실야에노카타
자녀만푸쿠마루
차차
하쓰

만주마루
이요리?
엔주마루
군사 활동
소속아사쿠라 씨
참전 전투노라다 전투 (1560년)
사이토 씨 공격 (1565년)
가네가사키 포위전 (1570년)
아네가와 전투 (1570년)
오다니 성 전투 (1573년)
기타
묘소도쿠쇼지
계명요겐인 덴에이소세이

2. 생애

아자이 나가마사는 덴분 14년(1545년)[9], 오미 북부의 센고쿠 다이묘 아자이 히사마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당시 아자이 가문은 남부 오미의 롯카쿠 씨에게 종속된 상태였으나, 나가마사는 가신들의 추대로 아버지 히사마사를 은거시키고 가문을 계승하여 롯카쿠 씨로부터 독립을 이루었다(노라타 전투).

이후 세력을 확장하던 중, 미노 공략을 위해 배후의 안정을 원했던 오다 노부나가와 동맹을 맺고 그의 여동생 오이치와 혼인하였다. 이 동맹으로 노부나가의 교토 상경을 돕기도 했으나(간논지 성 전투), 1570년 노부나가가 오랜 동맹이었던 아사쿠라 가문을 공격하자 동맹을 파기하고 노부나가와 적대 관계가 되었다(가네가사키 전투).

나가마사는 아사쿠라 가문 및 반 노부나가 세력과 연합하여 아네가와 전투, 시가 전투 등에서 오다 군과 싸웠으나, 1573년 다케다 신겐의 사망으로 노부나가 포위망이 약화되자 노부나가의 총공격을 받게 되었다. 결국 아사쿠라 가문이 먼저 멸망하고(이치조다니 전투), 본거지 오다니 성이 함락되면서 아버지 히사마사와 함께 자결하였다. 향년 29세였다.

사후 그의 딸들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거두어졌으며, 차녀 오하츠는 교고쿠 다카쓰구에게, 막내딸 오에요는 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 시집가 3대 쇼군 이에미츠를 낳았다. 이로 인해 나가마사는 사후 종3위 곤 주나곤으로 추증되었다.[24]

2. 1. 가문 상속과 독립

덴분 14년(1545년)[9], 아자이 히사마사의 적남으로 오미(현재의 시가현)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이름은 '''사루야샤'''이다.

당시 아자이 가문은 초대 당주 아자이 스케마사(나가마사의 조부) 시절의 세력을 잃고 롯카쿠 씨에게 신종하는 처지였다. 이로 인해 나가마사 자신도 생모 오노도노와 함께 인질이 되었다고 전해지며, 아자이 가문은 오미 북부의 지배권을 간신히 유지하고 있었다. 아버지 히사마사는 롯카쿠 씨와의 외교에 힘썼으나, 가신 중에는 히사마사의 소극적인 정책에 반발하는 자가 많았고, 선대에 활약했던 무장들도 세대교체라는 명목으로 낮은 대우를 받았다고 한다.

에이로쿠 2년(1559년) 정월, 15세에 원복을 치르고, 롯카쿠 요시카타의 이름 한 글자(편휘)를 받아 '''가타마사(賢政)'''라고 칭했다. 또한 같은 시기에 롯카쿠 씨의 중신 히라이 사다타케의 딸과 혼인하였다. 이는 당시 아자이 씨가 롯카쿠 씨에게 종속된 입장이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에 불만을 품은 가신들은 지용(智勇)이 뛰어난 가타마사에게 기대를 걸었다. 영록 2년(1559년) 4월경, 가타마사는 아내를 히라이 사다타케에게 돌려보내 이혼하였다. 이는 롯카쿠 씨와의 관계 단절을 표명하는 것이었고, 롯카쿠 요시카타의 공격을 초래하게 된다. 『아자이 삼대기(浅井三代記)』에서는 가타마사가 원로 가신들과 상의하여 아버지 히사마사 몰래 이혼했기 때문에 부자간의 불화가 생겼다고 하지만, 같은 해 5월의 문서에는 "부자 모두 여러 가지로 간절한 모습이다(父子共、色々懇之様体共候)" (「시마 기록(島記録)」)라고 기록되어 있어, 부자간의 불화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렵다.

영록 3년(1560년) 8월 중순, 롯카쿠 요시카타는 아자이 측에 내응한 고노세 히데타카의 히다 성을 공격했다. 이에 아자이 씨도 군세를 파견했고, 16세의 가타마사는 이 전투(노라타 전투)에서 첫 출진하여 롯카쿠 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이 승리는 아자이 측이 히사마사의 은퇴 무렵부터 전투 준비를 시작했던 반면, 롯카쿠 측은 급조된 군비밖에 갖추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나가마사가 롯카쿠 씨로부터 이반했을 때 아사쿠라 씨와 신종 관계를 맺었다는 설도 있다[10]. 이는 아자이 측이 아사쿠라 씨를 "어전님(御屋形様)"으로 칭하는 문서나 이치조다니에 남아있는 "아자이 전(浅井殿)" 등의 지명에 근거하는데, 대등한 동맹보다는 아사쿠라 씨(아사쿠라 요시카게)에게 출사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10].

같은 해 10월경, 가신들의 지지를 받은 가타마사는 아버지 히사마사를 은거시키고 아자이 씨의 가독을 계승했다. 『고노키(江濃記)』에 따르면 나가마사와 아카오, 쵸노, 모모, 엔도, 안요지 등 가신들이 "평정(評定)"을 열어 히사마사를 은거시키고 롯카쿠 씨와 대항하는 노선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은거한 히사마사는 오다니 성의 고마루(小丸)로 옮겼으나, 이후에도 나가마사와 연서한 문서가 있어 일정 부분 지위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영록 4년(1561년) 1월경, 조부 스케마사의 수령명을 이어받아 '''비젠노카미'''를 칭하고, 5월경에는 이름을 가타마사에서 '''나가마사(長政)'''로 고쳤다.

한편, 롯카쿠 씨는 미노의 사이토 씨와 연계하려 했다. 롯카쿠 요시하루는 사이토 요시타츠의 딸과 혼인을 추진했다. 영록 4년 2월, 나가마사는 미노 국으로 출진했으나, 그 틈을 타 3월에 롯카쿠 요시카타가 사와야마 성을 공격하여 성주 모모 우라노스케가 전사했다. 미노에서 돌아온 나가마사는 사와야마 성을 탈환하고 이소노 가즈마사를 성주로 배치했다.

영록 6년(1563년), 롯카쿠 씨 내부에서 필두 가신 고토 가타토요가 당주 롯카쿠 요시하루에게 살해당하는 간논지 소동이 발생했다. 이 소동으로 롯카쿠 가문을 떠나 아자이 가문에 출사하는 자들이 많아졌고, 롯카쿠 씨의 약화는 결정적이 되었다. 나가마사는 이 기회를 틈타 다카미야(현 히코네시)로 출진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며, 다카 대사에 금제(禁制)를 내리고 쇼라쿠지(勝楽寺, 현 고라정)의 소유지를 인정하는 안도장(安堵状)을 발급하는 등, 현재의 다카정고라정 일대로 영향력을 넓혔다. 그 후에는 롯카쿠 씨와의 휴전 협정에 의해 교착 상태가 계속되었다.

2. 2. 오다 노부나가와의 동맹

1560년 무렵, 오다 노부나가미노(美濃)의 사이토 가문(斎藤氏)과의 군사적 교착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후와 미쓰하루를 사자로 보내 아자이 나가마사에게 동맹을 제안했다. 아자이 가문에 유리한 조건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가신들 사이에서는 찬반 의견이 나뉘었으며 중신 엔도 나오쓰네 등은 반대 입장을 보였다. 특히 아자이 가문과 대대로 동맹 관계였던 아사쿠라 가문과 오다 노부나가의 사이가 좋지 않다는 점이 가장 큰 걸림돌이었다.

결국 나가마사는 "동맹 기간 중 오다 가문은 아사쿠라 가문을 공격하지 않으며, 만약 공격하게 될 경우 반드시 사전에 알린다"는 약속을 받아낸 뒤, 노부나가의 여동생 오이치를 아내로 맞이하여 혼인 동맹을 맺었다. 이 결혼의 구체적인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하여 명확히 확정되지 않았다.

오이치


이 동맹을 통해 노부나가는 교토로 가는 길(상경로)을 확보하고 미노 공략의 발판을 마련했으며, 아자이 가문은 강력한 오다 가문과의 연계를 통해 주변의 다른 다이묘들을 견제할 수 있게 되었다. 일설에 따르면, 오이치와의 혼담을 위해 찾아온 노부나가를 암살하자는 엔도 나오쓰네의 제안을 나가마사가 거절했다고도 한다. 노부나가는 이 동맹에 크게 만족하여, 당시 관례와 달리 혼인 비용 전액을 오다 가문에서 부담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이 결혼을 계기로 노부나가의 이름 한 글자인 '나가(長)'를 받아 나가마사(長政)로 개명했다는 설이 있으나[17], 노부나가와 나가마사가 주종 관계가 아니었다는 점 등을 들어 반론도 제기되고 있다.

1568년 7월, 에치젠국에 머물던 아시카가 요시아키상경을 돕지 않는 아사쿠라 요시카게에게 실망하여 노부나가에게 의탁했다. 이에 노부나가는 같은 해 9월, 요시아키를 쇼군으로 옹립하기 위해 교토로의 상경을 시작했다. 나가마사 역시 이 상경에 동참하여[3], 아자이 군은 숙적이었던 롯카쿠 가문을 격파하는 데 기여했다(간논지 성 전투). 그러나 상경 후 공적이 있던 다른 무장들과 달리 나가마사에게는 별다른 포상이 없었는데, 이는 훗날 나가마사가 노부나가를 배신하는 한 원인이 되었을 가능성이 지적되기도 한다.

2. 3. 노부나가와의 대립과 멸망

겐키 원년(1570년), 오다 노부나가는 아자이 나가마사와 맺었던 '아사쿠라 가문을 공격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깨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함께 에치젠국의 아사쿠라 영지를 공격했다. 아자이 가문은 나가마사의 할아버지 대부터 아사쿠라 가문과 동맹 관계를 유지해왔기에 이 공격은 가문 내 분열을 야기했다. 노부나가와의 동맹 유지를 주장하는 의견도 있었으나, 결국 아자이 가문은 오랜 동맹을 중시하여 아사쿠라 가문을 지원하기로 결정하고 오다-도쿠가와 연합군의 배후를 기습했다. 이 갑작스러운 배신으로 노부나가는 궁지에 몰렸고, 기노시타 히데요시, 이케다 가쓰마사 등 후위 부대의 분전 덕분에 간신히 교토로 후퇴할 수 있었다(가네가사키 전투). 나가마사의 배신 이유에 대해서는 아사쿠라와의 동맹 중시, 노부나가의 다음 공격 목표가 될 것이라는 우려, 노부나가와의 불평등한 관계에 대한 불만, 아시카가 요시아키의 배후 조종설, 노부나가의 '천하포무' 구상에 대한 반발 등 여러 설이 존재하지만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18][10][3]

같은 해 6월, 나가마사는 아사쿠라 군과 연합하여 아네가와 전투에서 오다-도쿠가와 연합군과 격돌했다. 아자이 군은 한때 오다 군을 거세게 몰아붙였으나, 함께 싸우던 아사쿠라 군이 도쿠가와 군 별동대의 측면 공격에 무너지면서 결국 패배했다. 이 전투에서 도도 다카토라는 아자이 군의 병졸로 참전하여 무공을 세우고 나가마사로부터 표창을 받기도 했다. 아네가와 전투 이후, 노부나가의 세력 확장에 위협을 느낀 혼간지, 다케다 신겐, 우에스기 겐신 등 여러 다이묘들이 반(反) 노부나가 기치를 내걸면서 이른바 '노부나가 포위망'이 형성되었다.

같은 해 9월, 나가마사는 아사쿠라 군 및 엔랴쿠지 승병들과 연계하여 다시 노부나가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여 시가 전투에서 오다 군의 모리 요시나리, 오다 노부하루 등을 전사시키는 전과를 올렸다. 그러나 노부나가가 조정과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통해 화의를 추진하면서 12월에 칙명 강화가 이루어졌다. 이듬해인 1571년 9월, 아자이 가문의 주요 동맹 세력이었던 엔랴쿠지는 노부나가의 비에이산 화공으로 궤멸적인 타격을 입었다.

겐키 3년(1572년) 7월, 노부나가가 다시 북 오미를 침공하자 나가마사는 아사쿠라 요시카게에게 원군을 요청했다. 요시카게는 1만 5천의 병력을 이끌고 왔으나 오다 군과의 정면 대결을 피하며 대치 상태가 이어졌다. 같은 해 9월,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의 요청에 응한 다케다 신겐이 2만 7천 대군을 이끌고 본거지 가이국을 출발하며 나가마사 부자에게 즉시 행동에 나설 것을 촉구하는 서신을 보냈다. 신겐은 10월 미카타가하라 전투에서 오다-도쿠가와 연합군을 격파하고 미카와국으로 진격했다. 나가마사는 오미 북부에 주둔한 오다 군을 견제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 아사쿠라 요시카게는 병사들의 피로와 폭설을 이유로 돌연 에치젠국으로 군대를 철수시켰다. 이에 격분한 신겐은 요시카게에게 재출병을 강하게 요구했으나 요시카게는 응하지 않았다. 신겐은 요시카게를 기다리며 진군을 멈추었으나[13], 이듬해 2월 미카와국의 노다 성을 공략하던 중 지병 악화로 가이국으로 회군하던 길에 사망했다. 강력한 동맹이었던 신겐의 죽음으로 노부나가 포위망은 사실상 붕괴되었고, 노부나가는 아자이-아사쿠라 동맹에 대한 총공세를 펼칠 수 있게 되었다.

아자이 나가마사 공 자진의 땅(오다니 성 내・아카오 저택 터)


덴쇼 원년(1573년) 7월, 노부나가는 3만 대군을 이끌고 다시 북 오미를 침공했다. 나가마사는 아사쿠라 요시카게에게 원군을 요청하여 2만 병력을 얻었으나, 오다 군의 압도적인 공세와 아자이 가신들의 연이은 배신으로 요시카게는 구원을 포기하고 에치젠으로 철수했다. 노부나가는 철수하는 아사쿠라 군을 추격하여 이치조다니 전투에서 궤멸시키고 아사쿠라 가문을 멸망시킨 뒤, 전력을 아자이 가문의 본거지 오다니성으로 돌렸다.

오다니 성은 오다 군에게 완전히 포위되었지만, 노부나가는 즉각적인 총공격 대신 여러 차례 항복을 권유했다. 항복 조건으로 야마토국에 새로운 영지를 주겠다는 파격적인 제안까지 했으나, 나가마사는 이를 모두 거절했다. 후와 미쓰하루, 도요토미 히데요시 등이 사자로 파견되었지만 협상은 결렬되었다. 최후가 임박했음을 직감한 나가마사는 아내 오이치와 세 딸을 설득하여 친정인 오다 가문으로 돌려보냈다. 오이치 일행이 성을 나설 때 양측 군대는 공격을 멈추었다고 전해진다.[3][4]

8월 27일, 아버지 아자이 히사마사가 먼저 자결했고, 9월 1일 나가마사도 뒤를 따라 오다니 성 내 아카오 저택 터에서 자결했다. 향년 29세였다. 자결 직전인 8월 29일에 가신 카타기리 나오사다에게 발급한 감사장에서는 노부나가가 제정한 연호 '덴쇼' 대신 기존 연호 '겐키'를 사용하여 마지막까지 저항 의지를 보였다는 해석도 있다.[20][21] 나가마사의 묘소는 시가현 나가하마시의 토쿠쇼지에 있다.

나가마사 사후, 노부나가는 오이치를 통해 아들 만푸쿠마루의 행방을 알아낸 뒤, 히데요시에게 명하여 그를 처형하고 머리를 효수하는 비정한 모습을 보였다. 또한 덴쇼 2년(1574년) 정월 연회에서 아사쿠라 요시카게, 아자이 히사마사, 나가마사의 두개골에 금칠(혹은 옻칠)을 하여 공개했다는 기록이 『신초코기』와 『아자이 삼대기』에 남아있다.[23] 하지만 노부나가가 이 두개골을 술잔으로 사용했다는 직접적인 기록은 없으며[22], 루이스 프로이스는 노부나가가 술을 마시지 않았다고 기록했기 때문에 해골 술잔 이야기는 후대에 꾸며진 이야기일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이러한 일화는 노부나가의 잔혹함을 보여주는 사례로 종종 언급되며, 동맹을 배신하고 적장의 유골까지 욕보였다는 점에서 비판적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훗날 나가마사의 딸 중 차녀 오하츠는 교고쿠 다카쓰구에게 시집갔고, 막내딸 오에요는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정실이 되어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츠를 낳았다. 이로 인해 나가마사는 도쿠가와 이에미츠의 외조부가 되었고, 사후 간에이 9년(1632년) 9월 15일 종3위 곤 주나곤으로 추증되었다.[24]

3. 가족 관계

'''부모'''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아자이 히사마사
어머니오노노도노아고 고료닌(阿古御料人)



'''형제자매'''
관계이름비고
아자이 마사모토
아자이 마사유키
오오모지야 신주로아명 아자이 하루마사
누나/여동생아구히메쇼안 켄큐니(昌安見久尼)
누나/여동생오미노 카타사이토 요시타쓰의 부인, 사이토 다쓰오키의 어머니.[25]
누나/여동생쿄고쿠 마리아교고쿠 다카요시의 부인



'''부인'''
구분이름비고
정실히라이 사다타케의 딸
계실오이치노카타오다 노부나가의 여동생
측실야에노카타또는 야에자쿠라 노호



'''자녀'''
구분이름비고
아들만푸쿠마루(萬福丸)적남. 다른 이름 테루마사(輝政).[26] 오다니 성 전투 후 오다 군에게 살해됨.
만쥬마루(万寿丸)차남. 다른 이름 나가히데(長秀)[27], 나오마사(直政)[28], 마사하루(政春)[27], 만키쿠마루(万菊丸)[29], 이쿠마루(鯈), 토라치요마루(虎千代丸)[26], 카쿠에몬(角右衛門)[28]. 승려가 되었으나 이후 분고 호소카와 번 가신이 되어 아자이 가문을 이음. 후쿠덴지 주지 설 있음.[27]
키하치로(喜八郎)삼남. 다른 이름 이요리(井頼), 나가하루(長春)[26]. 누나 하츠의 시가인 쿄고쿠 씨에게 의탁, 마루가메에서 사망.
엔쥬마루(円寿丸)사남. 다른 이름 마사하루(政治)[26].
시치로(七郎)다른 이름 나가아키라(長明). 측실 야에노 카타 소생.
차차(茶々)장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실,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어머니.
하츠(初)차녀. 교고쿠 다카쓰구의 정실. 법명 죠코인.
(江)삼녀. 다른 이름 에요(督). 사지 카즈나리 정실 → 도요토미 히데카츠 정실 → 도쿠가와 히데타다 계실.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어머니. 법명 스겐인.
쿠스(くす)서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시녀, 쿄고쿠 류코의 시녀 및 유모라는 설이 있음. 류세이지(龍生寺) 재흥.
교부쿄노츠보네다른 이름 슌초니(春嶺尼). 센히메의 시녀 혹은 유모. 만토쿠지 전승에 따르면 나가마사의 딸. (전승상 인물)


4. 평가 및 대중문화

아자이 나가마사가 오다 노부나가와의 동맹을 파기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1570년, 노부나가가 아자이 가문과 맺었던 '아사쿠라 가문에 대한 부전(不戰) 맹세'를 깨고 에치젠아사쿠라 가문을 공격하자, 아자이 가문은 오랜 동맹 관계였던 아사쿠라 가문과의 의리를 중시하여 오다-도쿠가와 연합군의 배후를 공격했다. 일설에는 오다 가문과의 동맹을 반대했던 가신들이 아사쿠라 공격 시 아자이 가문에 미리 알리지 않은 노부나가의 행동을 빌미로, 나가마사의 아버지 히사마사를 통해 나가마사를 설득하여 오다 군을 공격하도록 부추겼다고도 전해진다. 중신인 아카오(赤尾), 이소노(磯野), 가이호(海北) 등은 공격에 반대했지만, 반(反) 노부나가파 가신들의 움직임을 막지 못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덴쇼 원년(1573년) 오다니 성 전투에서 패배하여 자결한 나가마사의 최후와 관련하여, 노부나가가 그의 두개골과 아버지 히사마사, 아사쿠라 요시카게의 두개골에 옻칠과 금분칠(박농, 薄濃)을 하여 1574년 정월 연회에서 공개했다는 기록이 『노부나가 공기』와 『아자이 삼대기』에 남아있다. 일부 문헌에서는 이를 노부나가의 잔혹함이나 아자이, 아사쿠라 가문에 대한 깊은 원한을 보여주는 일화로 해석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적장에 대한 경의의 표현으로, 새해를 맞아 현세와 내세를 아우르는 정화 의식을 통해 세 장수의 명복을 빌고 새로운 시작을 기원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22]. 『노부나가 공기』나 『아자이 삼대기』 어느 쪽에도 노부나가가 해골로 만든 잔으로 술을 마셨다는 기록은 없으며, 현재는 해골 술잔 이야기는 후대의 창작으로 여겨진다.

나가마사는 딸 오에요가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혼인하여 도쿠가와 이에미츠를 낳았기 때문에, 에도 막부 3대 쇼군 이에미츠의 외조부가 된다. 이로 인해 사후인 간에이 9년(1632년) 9월 15일, 종3위 곤 주나곤으로 추증되었다[24].

아자이 나가마사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의리 있는 무장으로 그려지며,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로 등장한다.

코에이의 무쌍 OROCHI 2에 등장하는 아자이 나가마사.


아자이 나가마사가 등장하는 대중문화 작품
구분작품명비고
게임Nioh 2적대 세력으로 등장.
쇼군: 토탈 워장군으로 등장.
미디블: 토탈 워 (사무라이 워로드 모드)아자이 가문 후계자로 등장.
무쌍 시리즈플레이 가능 캐릭터. 정의를 중시하는 명예로운 인물로 묘사. 오이치와의 관계가 강조됨.
센고쿠 바사라 시리즈센고쿠 바사라 2에서 NPC, 확장팩부터 플레이 가능. 특촬 히어로 풍의 정의로운 인물.
포켓몬스터 + 노부나가의 야망주인공 캐릭터의 모티브.
오토메이트 『꽃의 흐릿한 달 - 전국전 란키 -』메인 히어로. 연애 게임.
드라마 (NHK 대하드라마 등)국토탈취 이야기 (1973년, NHK)배우: 스기 료타로
토시이에와 마츠 ~카가 백만석 이야기~ (2002년, NHK)배우: 카츠라야마 신고
고우~공주들의 전국~ (2011년, NHK)배우: 토키토 사부로
노부나가 콘체르토 (2014년, 후지 TV)배우: 타카하시 잇세이
기린이 온다 (2020년, NHK)배우: 카나이 히로토
어떻게 할까 이에야스 (2023년, NHK)배우: 오오누키 유스케
소설이토 히로시 『패자의 계보』나가마사가 히사마사 파를 완전히 통제했다는 가정의 if 소설.
스즈키 키이치로 『아자이 나가마사 정전, 죽어서 호랑이 가죽을 남기다』나가마사 시점의 역사 소설.
에구미 타카유키 『아자이 나가마사, 노부나가를 몰아붙인 의붓 동생』나가마사의 생애를 그린 역사 소설.
도쿠나가 신이치로 『아자이 나가마사』아자이 3대의 흥망을 그린 장편 역사 소설.
고노에 류슌 『아자이 나가마사와 오이치노카타』아자이와 오다 가문의 이야기를 그린 소설.
우물 안의 이모리 『노부나가의 여동생이 내 신부』현대 남고생이 나가마사로 환생하는 라이트 노벨.
애니메이션고양이 고양이 일본사아사쿠라 요시카게와 콤비를 이루는 고양이 캐릭터. 성우: 미타니 쇼코.
만화『노부나가의 여동생이 내 신부』동명 라이트 노벨의 코미컬라이즈.
악곡사쿠라 유키 『새벽의 강』아네가와 전투를 소재로 한 곡.


참조

[1] 웹사이트 朝日日本歴史人物事典「浅井長政」の解説 https://kotobank.jp/[...] kotobank 2021-11-25
[2] 서적 A History of Japan, 1334–1615 Stan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Battles of the Samurai Arms and Armour Press
[4]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0 2000
[5] 웹사이트 The Samurai Archives Japanese History Page http://www.samurai-a[...] 2018-06-30
[6] 웹사이트 Asai Nagamasa http://wiki.samurai-[...] 2018-06-30
[7] 문서 『浅井氏家譜大成』によれば「喜八郎長春」
[8] 문서 『浅井氏家譜大成』によれば「円寿丸政治」
[9] 문서 上田正昭、津田秀夫、永原慶二、藤井松一、藤原彰、『コンサイス日本人名辞典 第5版』、株式会社三省堂、2009年 21頁。
[10] 문서 長谷川裕子「浅井長政と朝倉義景」樋口州男 他編『歴史の中の人物像―二人の日本史』【小径選書 4】小径社、2019年 ISBN 978-4905350101 P138-146.
[11] 간행물 信長の婚姻大作戦
[12] 문서 太田浩司「北近江の戦国史」『戦国大名浅井氏と北近江-浅井三代から三姉妹へ-』、長浜市長浜城歴史博物館、2008年。
[13] 서적 新・信長公記 ブイツーソリューション
[14] 간행물 和田惟政関係文書について
[15] 서적 考証織田信長事典 東京堂出版
[16] 간행물 織田信長と浅井長政の握手
[17] 문서 黒田惟信編『東浅井郡志』、東浅井郡教育会、1927年のちに1971年に名著出版から復刻。
[18] 문서 太田浩司「浅井長政と姉川合戦: その繁栄と滅亡への軌跡」サンライズ出版、2011年
[19] 문서 久野雅司「織田信長と足利義昭の軍事的関係について」(初出:『白山史学』第53号/所収:久野『織田信長政権の権力構造』(戎光祥出版、2019年) ISBN 978-4-86403-326-8) 2019年、P137-140.
[20] 문서 荻野三七彦「浅井長政最期の感状」、『古文書研究』31号、1989年。
[21] 문서 小笠原長和「浅井長政の感状と主従関係」、『千葉史学』37号、2000年。
[22] 서적 誰も知らなかった江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23] 서적 通記第二十七 淺井三代記 https://dl.ndl.go.jp[...] 近藤出版部
[24] 문서 安積澹泊著『烈祖成績』巻三
[25] 문서 『東浅井郡誌』は『江濃記』『言継卿記』の記述から義龍の室は一条家|一条氏の出であるとしている。
[26] 문서 浅井国幹『浅井系統一覧』による。
[27] 문서 『寛政重修諸家譜』[https://dl.ndl.go.jp/pid/1082713/1/503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8] 문서 大分県西国東郡真玉町の子孫所蔵系図による。
[29] 문서 福田寺の寺伝によ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